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Social Welfare)/사회복지 조사론 공부

사회복지조사와 증거기반실천

by 느리지만 keep going, 2024. 2. 9.

 증거기반실천은 사회복지사가 활용가능한 최선의 연구결과를 통해 실천에 관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하나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증거기반실천의 의의

  원래 증거기반실천이라는 용어는 의료전문가들이 환자에 대해 임상적 결정을 내릴 때 이용 가능한 최선의 증거를 사용하는 과정을 묘사하기 위해 만든 용어인 증거기반의료(evidence-based medicine)에 기초한 것입니다.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증거기반실천은 개입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해 그리고 적용한 개입방법이 다른 대안보다 더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고자 하는 바람에서 출발했습니다. 또한 사회복지사들이 자신들이 행하는 실천이 과학에 근거한 원조 기술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증거기반실천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증거기반실천은 "권위에 기반을 둔 실천(authority-based practice)"과 달리 과학적 방법을 실천 결정에 적용합니다. 증거기반 실천은 사회복지사가 활용할 수 있는 최선의 연구 결과를 통해 실천에 관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하나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사회복지사에게 과학적 증거와 자신의 실천적 전문성 및 지식을 통합함으로써 가능하게 됩니다.

 

  따라서 증거기반실천모델을 적용하는 사회복지사의 경우, 새로운 클라이언트를 맡으면 클라이언트의 문제와 치료 욕구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과학적으로 가장 타당한 진단기술을 찾아 사용하고자 하며 이용할 수 있는 최선의 조사증거에 비춰 어떤 실천개입이 가장 효과적일지를 선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정책개발이나 지역사회복지 차원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또한 증거기반실천과 사회조사의 관계에 있어서 증거기반실천을 따르는 사회복지사의 경우 자신의 실천 결정을 평가하기 위해 조사방법을 사용하게 됩니다. 즉, 증거에 기반한 개입 결정과 그에 따른 개입 결과가 어느 정도 목표를 달성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조사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조사 결과 만약 애초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면, 증거기반실천을 따르는 사회복지사는 대안적 개입을 선택할 것이며 그러한 평가 과정은 목표 달성을 확인할 때까지 반복하게 될 것입니다.

 

2) 증거기반실천의 단계

  증거기반실천을 위해서는 질문의 형성, 증거의 탐색, 발견한 연구에 대한 비판적 평가, 어떤 증거기반개입이 자신의 특정한 클라이언트에게 가장 적합할지에 대한 결정, 증거기반개입의 적용, 평가 과정과 피드백의 제공 등의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 Rubin & Babbie(2008)와 이경순 외(2007)가 밝히고 있는 증거기반실천의 6단계 

 

  (1) 실천욕구에 답하기 위한 질문의 형성

   첫 번째 단계는 실천대상이 되는 문제를 정의하는 것입니다. 어떤 문제의 분명한 답을 얻기 위해서는 먼저 문제를 명확히 규명해야 하며, 이는 실천대상자의 문제뿐 아니라 이미 알려져 있는 것과 최선의 결정을 위해서 어떤 추가적 정보가 필요한지 구체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작업은 사회복지사, 참여자, 가족 그리고 다른 전문직과 협동으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특히 참여자의 특성, 고려되는 개입, 대안적 개입 및 그 결과와 관련된 질문 형식의 접근을 권유하고 있습니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선행연구 결과들을 찾게 되고, 보다 더 명확한 답을 얻기 위해 비슷한 질문들을 확장해 나가게 됩니다.

 

  (2) 증거의 탐색

   두 번째 단계는 근거를 찾아나가는 것입니다. 관련 서적, 학술데이터베이스 등을 통해 확보할 수 있습니다.

 

  (3) 발견한 관련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평가

   세 번째 단계는 발견한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는 일입니다. 비판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치료결과가 믿을만하고 타당하며 편향되지 않게 측정되었는가?

   *개입이나 다른 것들이 참여자에게 나타난 결과의 편차를 가장 그럴듯하게 설명할 수 있는지를 결정적으로 보여줄 수 있을 만큼 연구설계가 충실한가?

 

   증거의 질을 평가하는 의미는 실천 개입이 치료결과를 가장 설득력 있게 설명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4) 내가 다루는 사례에 가장 적합한 증거기반개입이 무엇인지를 결정

   네 번째 단계는 참여자에게 있어 가장 성공적인 결과를 달성할 가능성이 높은 개입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최선의 증거로 지지되는 개입일지라도 클라이언트에 따라서 비효과적인 개입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5) 증거기반개입의 적용

   다섯 번째 단계는 근거를 적용하는 단계입니다. 연구결과를 실천현장에서 사용가능한 정보로 전환하는 것은 증거기반개입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입니다. 평가하는 과정에서 측정될 치료목표나 성과지표를 사전에 설정해야 함을 기억해야 합니다.

 

  (6) 평가

   여섯 번째 단계는 개입의 결과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이는 근거의 사용이 실천을 통한 문제해결과 욕구충족에 얼마나 도움이 되었는지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검증하는 것입니다. 

 

 

 

출처:이봉재,'사회복지조사론',신정,2018년
[출처:이봉재,'사회복지조사론',신정,2018년]